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

[파레토의법칙] 세상의 모든 것은 8:2의 법칙으로 통한다?



파레토의 법칙 80 대 20의 마법


전체 결과의 80%가 전체 원인의 20%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을 파레토의 법칙이라 합니다. 


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(Vilfredo Pareto, 1848~1923)는 '이탈리아 전체 부의 80%를 인구의 20%가 차지하고 있다'는 주장을 하면서 큰 화제를 불러일으켰습니다. 이 8 대 2의 법칙은 이탈리아 부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곳곳에 적용되고 있습니다.


백화점 매출의 80%는 20%의 주요 고객에 의해 이루어지며, 운동경기에서 전체 상금의 80%가 20%의 선수들에 의해 싹쓸이됩니다. 

내가 입는 옷의 80%가 내가 가진 20%의 옷에 집중되어 있으며, 내가 통화한 총 시간의 80%가 내가 아는 20%의 사람들과 이루어집니다. 

내 책상 위의 20%의 물건만이 내가 자주 쓰는 물건이며, 내가 다운받은 앱 중 자주 쓰는 것은 다운받은 전체 앱 중에 20%일 뿐입니다.




이 8 대 2의 법칙을 보면서 떠오르는 법칙이 하나 더 있었는데요, 바로 또라이 질량 보존의 법칙입니다. 

또라이 질량 보존의 법칙이란 어딜 가든 또라이 같은 동료가 꼭 하나씩은 있다는 말입니다. 회사에 또라이 같은 동료 때문에 힘들어서 직장을 옮겨도, 그곳에서 반드시 또 다른 또라이를 만난다는 의미입니다. 

만약 정말 운 좋게 모든 사람이 만족스럽다면? 그 조직의 또라이는 바로 나입니다. 또라이 수는 전체인원에 비례해 언제나 일정하게 보존돼야 하니까요. 


이 마법 같은 비율을 보면서 씁쓸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재미있기도 합니다.

과연 이 오래된 법칙이 아직 통할까요? 이제는 8:2의 법칙이 아니라 9.9대 0.1의 법칙으로 비율을 바꿔야 할듯합니다. 

영향을 끼치는 소수는 점점 줄어들고 그 영향력은 더 막강해지고 있으니까요.


▼공감(♡)을 눌러서 다녀가신 흔적을 남겨주세요. 감사합니다.